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
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
ARTICLE

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

박혜미1, 이대훈1, 정유석2, 정희경2, 조재곤3, 홍주헌1,*
Hye-Mi Park1, Dae-Hoon Lee1, Yoo-Seok Jeong2, Hee-Kyoung Jung2, Jae-Gon Cho3, Joo-Heon Hong1,*
1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
2(재)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
3농업회사법인 ㈜영풍
1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, Catholic University of Daegu, Gyeongsan 712-702, Korea
2Biohealth Convergence Center, Daegu Technopark, Daegu 704-801, Korea
3Young Poong Co., Daegu 704-801, Korea
*Corresponding author. jhhong@cu.ac.kr Phone:82-53-850-3218, Fax: 82-53-850-3218

©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. This is an Open-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-Commercial License (http://creativecommons.org/licenses/by-nc/3.0/)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-commercial use, distribution,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,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.

Received: Mar 24, 2015; Revised: May 8, 2015; Accepted: May 23, 2015

Abstract

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ay-dried rice flou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were investigated. Amylose and damaged starch contents of spray-dried rice flour (S10, S20, S30, and S50) with L. plantarum CGKW3 were 14.18~17.75% and 24.65~34.08%, respectively. The particle size of spray-dried rice flour was 82.28~131.17 μm. The rice flour with L. plantarum CGKW3 showed a good powder flowability. The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of spray-dried rice flour were 1.96~2.13 and 9.91~21.95%, respectively. Thermal propertie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revealed that the enthalpy (△H) for starch gelatinization were highest in the rice flour (S50) with L. plantarum CGKW3. When compared, the viable cell number of spray-dried rice flour were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: S10 (5.78 log CFU/g) ‹ S20 (6.38 log CFU/g) ‹ S30 (6.69 log CFU/g) ‹ S50 (7.11 log CFU/g). The survaival rate of L. plantarum CGKW3 was 60.02-73.85%, which reflecte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rice flour with an increase in treatment concentration. Based on our results, spray-dried rice flour with L. plantarum CGKW3 could be used in various types of rice foods.

Keywords: rice flour;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; spray drying; encapsulation; physicochemical properties

서 론

유산균(lactic acid bacteria, LAB)은 당을 발효해서 다량 의 젖산을 생산하는 세균으로 유산음료, 치즈, 된장, 김치, 탁주 및 젓갈 등 전통적인 발효식품의 제조에 이용되어 식품의 보존성을 높여온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미생물이다(1). 전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요 유산균 종은Lactobacillus 속으로 장내에 정상 세균총의 유지, 면역 증강 작용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 등의 기능이 보고되 고 있다(2,3). 사람에게 투여되어 여러 가지 건강 증진 효과 를 가져올 수 있는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(probiotics)라 부르며, 일반적으로 이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은 장까지 도달한 살아있는 유산균에 달려 있다(4).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제조, 유통 및 저장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항생제, 노화, 스트레스와 식이 등으로 인해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활성이 감소하여(4-6), 안정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

식품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캡슐화(encapsulation) 는 식품소재의 산화방지 및 보존성 향상, 변화하기 쉬운 식품소재의 안정화, 불필요한 냄새의 차단, 액상식품의 고 형화, 식품소재의 방출속도 조절, 제조공정의 개선 및 물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(7,8). 캡슐화에 있어 핵물질 (core materials)의 특성과 사용될 목적에 따라 다양한 중합 체가 피복물질(wall materials)로 이용되고 있는데(9,10), maltodextrin, cyclodextrin, modified lipophilic starch 및 gum 류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(11,12). 전분 에 핵물질을 캡슐화시키는 원리로는 모세관의 형성 (formation of capillary), 흡수(sorption) 및 포집화합물의 형 성(inclusion complexes)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(13).

쌀의 일반 영양성분은 쌀의 품종, 재배지역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백미의 경우 전분이 75~80%, 단백질이 6~8%, 지방, 섬유질 및 회분이 각각 1~3% 정도 함유하고 있다(14). 쌀의 주요 성분인 전분은 구조가 서로 다른 아밀 로오즈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밀로오즈 함 량의 차이에 따라 쌀의 호화 및 노화 특성 등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(15), 쌀가공품의 품질은 쌀가루의 입도크기 및 분포, 전분손상, 호화특성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(16-18). 쌀시장 개방, 소비자 기호도 및 다양성의 변화 등으 로 인하여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05년 80.7 kg에서 2014년 65.1 kg으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를 보이고 있다(19). 이에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식뿐만이 아닌 쌀 가공제품 개발 및 다양화를 위한 노력 이 이루어지고 있다(20). 국내 쌀가공에 관한 연구로는 건식 과 습식, 열처리, 건조공정 및 제분조건 등을 달리한 쌀가루 제조(21,22)가 주를 이루었으나 근래에는 떡류(23), 쌀식빵 (24), 국수(25), 죽류(26) 및 수산가공 식품과 병용한 식품개 발(27)에 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.

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 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 며, 제조된 유산균포집 미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여 쌀 가공제품 개발시 가공적성 및 품질개 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.

재료 및 방법

실험재료

본 실험에 사용된 미분은 국내산으로 2014년 11월 대구 소재의 농업회사법인 ㈜영풍에서 제공받은 것을 60 mesh 표준망체(0.250 mm, Chunggye, Seoul, Korea)에 통과시킨 뒤, 121°, 1.2기압에서 15분동안 처리한 다음 유산균포집 을 위한 피복물질로 사용하였다. 유산균주는 대구가톨릭대 학교기능성식품학연구실에서김치로부터분리한Lactobacillus plantarum CGKW3(KACC92075P)를 사용하였으며, MRS 배지에 액체 종균 3%를 접종하고 37°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한 다음 사용하였다. 24시간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의 유산균수는 9.63 log CFU/mL로 나타났으며, pH 및 산도는 각각 3.87, 1.56%이었다.

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

분무건조에 의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유산 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%, 20%, 30% 및 50%(w/v)를 첨가하 여 교반한 다음 아토마이져(atomizer)가 장착된 분무건조기 (KL-8, Seogang engineering Co., Ltd., Cheonan, Korea)를 이용하여 주입 온도 160°, 방출 온도 100°로 설정하였고, 분무속도는 17,000 rpm에서 시료공급속도는 12 mL/min의 조건으로 제조하였으며, –70° 이하의 암소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. 대조구로는 증류수에 미분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분무건조한 분말을 사용하였다.

아밀로오즈함량 측정

아밀로오즈함량은 Williams 등(28)의 방법에 의해 측정 하였다. 시료 0.1 g에 95% ethanol 1 mL와 1 N NaOH 9 mL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100° 진탕 항온수조(BS-31, Jeio tech Co., Ltd., Seoul, Korea)에 넣어 10분 동안 반응시켰 다. 반응시킨 후 반응용액 5 mL를 취하고 1 N acetic acid 1 mL와 iodine-potassium iodin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, Ansan, Korea) 2 mL를 첨가한 후 증류수 를 이용하여 100 mL가 되도록 정용하였으며,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분광광도계(Ultraspec-2100pro, Amersham Co., Uppsala, Sweden)를 이용하여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 였다. 아밀로오즈함량은 감자에서 분리된 아밀로오즈 (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를 정량하여 작성 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.

손상전분함량 측정

손상전분함량은 Boyaci 등(29)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 다. 시료 9 g을 100 mL 정용플라스크에 넣고, α-amylase 용액(Aspergillus oryzae 125,000 unit in 450 mL acetate buffer, 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 45 mL를 첨가하여 유리막대로 잘 혼합한 다음 30° 진탕 항온수조 (BS-31, Jeio tech Co.)에 넣어 25분 동안 반응시켰다. 이 용액에 3.68 N sulfuric acid(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3 mL와 12% sodium tungstat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2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2분간 정치시켜 Whatman No. 4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굴절당도 계(N-1E, Atago Co., Ltd., Tokyo, Japan)를 이용하여 Brix를 측정하여 전분손상도 값을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.

B1 = Brix value of blank filtrate

B2 = Brix value of sample filtrate

V = Volume of slurry

M = Sample weight

F = Conversion factor = 1.64

입자크기 및 입자표면구조 분석

입자크기는 레이저입도분석기(LS-13-320, Beckman coulter, Fullerton, CA, USA)를 이용하여 시료를 isopropyl alcohol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. 입자표면구조는 각 시료에 gold ion coating한 후 주사형 전자현미경(S-4800, Hitachi high-Technologies Co., Tokyo, Japan)을 이용하였으며,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은 3.0 kV에서 1,000배 비율로 하였다.

수분함량 측정

수분함량은 시료 0.5 g을 페트리디쉬에 담아 적외선 수분 측정기(MB-45, Moisture analyzer, INC., Ohaus, USA)를 이 용하여 105°에서 분말의 수분함량이 항량에 도달할 때까 지 건조하여 측정하였다.

수분흡수지수(WAI) 및 수분용해지수(WSI) 측정

수분흡수지수(water absorption index, WAI) 및 수분용해 지수(water solubility index, WSI)는 phillips(30)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. 시료 0.5 g에 20 mL 증류수를 첨가하 여 3,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은 수분흡 수지수로 사용하였으며, 상등액은 미리 무게를 구한 수기 에 분리하여 105°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고형분을 수분 용해지수로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.

수분흡수지수 WAI = 침전물의양 시료의양 수분용해지수 WSI,% = 상등액고형분의양 시료의양 × 100
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

호화 특성은 Kim 등(31)의 방법에 의해 시차주사열량계 (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, DSC-60, Shimadzu Co., Kyoto, Japan)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. DSC thermogram은 10°부터 250°까지 10°/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얻은 후 호화개시온도(To, gelatinization onset temperature), 최대호 화온도(Tp, gelatinization peak temperature), 호화종결온도 (Tc, gelatinization completion temperature)와 흡열엔탈피(Δ H, gelatinization enthalpy)를 Universal analysis 2000 Program(4.5A, TA Instruments, Newcastle, DE, USA)에 의 해 계산하였다.

생균수 측정

생균수는 시료 1 g에 0.85% sodium chlorid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9 mL를 첨가하여 10배 희석법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희석액 100 μL를 1.5% agar(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가 첨가 된 MRS 배지에 접종하여 평판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. 각각 의 plate는 37°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형성된 colony 수를 계측하고, colony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시료 g당 CFU (colony forming unit)로 나타내었다.

통계처리

실험결과는 3회 반복으로 행하여 평균±표준편차로 나타 내었고 SPSS(19.0, SPSS Inc., Chicago, IL, USA)를 이용하여 분산분석(ANOVA)을 실시하였으며, 각 측정 평균값의 유의 성(p<0.05)은 Duncan’s multiple range test로 검정하였다.

결과 및 고찰

아밀로오즈함량, 손상전분함량, 입자크기 및 입자표면구조

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, 손상전분함량, 입 자크기 및 입자표면구조는 Table 1, Fig. 1 및 Fig. 2와 같다. 쌀은 아밀로오즈함량에 따라서 저 아밀로오즈(10~20%), 중간 아밀로오즈(20~25%) 및 고 아밀로오즈(25%<)로 분류 된다(32). 아밀로오즈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 의 경우 19.91%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유산균 포집 미분에서 14.18~17.75%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(Table 1). 일반적으로 아밀로오즈함량이 22% 이상인 쌀이 빵이나 국수 등의 가공용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데(25),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 질수록 아밀로오즈함량이 각각 14.18%, 15.82%, 16.92% 및 17.75%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쌀 가공제품 개발 에 있어 혼합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. 손상 전분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(38.95%)에 비하 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4.65~34.08%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손상전분 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. 입자크기의 경우 유산 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에서 77.21 μm로 가장 작았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은 82.28~131.17 μm로 유의적으로 큰 입자 크기를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50%일 때 131.17 μm 로 가장 컸다. 특히 분무건조공정에 의한 미분 제조시 Fig. 1과 같이 입자 크기가 단일 포물선 형태로 분포함을 확인하 였으며, 이로 인해 균일한 입자크기를 가지는 분말의 제조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. Park 등(33)의 연구에 따르면 초미세 쌀가루로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전분손상도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는데, 본 연구의 유산균포집 미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표면구조를 측정한 결과, 미분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으로 구형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사료된다(Fig. 2). 특히 미분 첨가량 30% 및 50%의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입자표면에 굴곡이 적고 조밀한 구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데, 이로 인해 내부 물질인 유 산균을 포집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.

kjfp-22-3-392-g1
Fig. 1. Par ticle size distribution of rice flour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spray-drying process. 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Download Original Figure
kjfp-22-3-392-g2
Fig. 2.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(3.0kV×1,000) of rice flour that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a spray-drying process. 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Download Original Figure
Table 1. Amylose contents, damaged starch contents, and particle size of r ice flour that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a spray-drying process
Samples1) Amylose content (%) Damaged starch content (%) Particle size (μm)
Non 19.91±0.28a2) 38.95±1.39a 77.21±0.18e
S10 14.18±0.36e 34.08±0.53b 82.28±0.57d
S20 15.82±0.26d 33.78±0.91b 84.24±0.12c
S30 16.92±0.45c 33.47±1.05b 85.54±0.11b
S50 17.75±0.09b 24.65±1.58c 131.17±1.29a
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
Means±SD (n=3) within each column (a-e)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(p<0.05).

Download Excel Table
수분함량, 수분흡수지수(WAI) 및 수분용해지수(WSI)

유산균포집 미분의 수분함량,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 지수는 Table 2와 같다. 수분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 은 미분의 경우 3.34%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2.32~2.62%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 으나 미분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. 일반적으로 미분의 수분함량은 작물의 수확시기, 보관 기간 및 보관조건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, Lee(20)의 국내 쌀품종에 따른 쌀가루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7.19~13.89%로 나타내었으며, Jeong 등(34)의 분무건조 탁 주분말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6.64%로 나타나 본 연구 의 유산균포집 미분이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수분흡수지수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 (2.39)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1.96~2.13으로 유의적 으로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증가할수록 각각 1.96, 1.96, 2.05 및 2.13으로 높아지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Han 등(32)은 품종이 다른 쌀가루의 수분 흡수력을 측정한 결과 쌀알의 경도보다 아밀로오즈함 량이 높은 품종의 경우 수분흡수력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 는데, 본 연구에서도 아밀로오즈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흡수 력이 높게 나타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. 수분용해지 수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에서 0.68%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9.91~21.95%로 높은 용해지수를 나타내었다.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수분용해지수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, 아밀로오즈함량이 높아질수록 수분용해지수 는 낮아져 수분흡수지수와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. 이 에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보 다 유의적으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.

Table 2. Moisture contents, water absorption index (WAI), and water solubility index (WSI) of rice flour that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a spray-drying process
Samples1) Moisture content (%) WAI WSI (%)
Non 3.34±0.41a2) 2.39±0.03a2) 0.68±0.04d
S10 2.42±0.47b 1.96±0.03d 21.95±0.17a
S20 2.62±0.42b 1.96±0.04d 18.49±1.53b
S30 2.32±0.26b 2.05±0.02c 10.95±0.53c
S50 2.48±0.37b 2.13±0.03b 9.91±0.27c
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
Means±SD (n=3) within each column (a-e)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(p<0.05).

Download Excel Table
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호화특성

유산균포집 미분의 시차주사열량계(DSC)에 의한 호화 특성은 Table 3과 같다. 호화개시온도(To)는 모든 시료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, 최대 호화온도(Tp), 호화종결온도(Tc) 및 호화엔탈피(△H)는 유 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높은 온도 및 엔탈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유산균포집 미분 의 호화개시온도(To)는 24.47~25.22° 범위이고, 최대호화 온도는 89.26~103.77°, 호화종결온도는 168.29~180.80° 로 측정되었다. Choi(35)는 유색미의 시차주사열량계에 의 한 열 특성 분석 결과 호화개시온도가 70~71° 범위로 높아 낮은 취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는데, 본 연구의 유 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낮은 호화개시온도를 나타내어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. Ko와 Park(36)은 일부 곡류 의 전분 구조 내에 존재하고 있는 amylose-lipid complex의 용융으로 인한 호화종결온도(Tc)가 상승한다고 보고하였 는데,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포집 미분의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각각 168.29°, 174.54°, 177.77° 및 180.80°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amyloselipid complex의 용융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. DSC thermogram상의 흡열엔탈피를 전분이 호화될 때 나타 나는 엔탈피로 볼 때(35), 호화에 필요한 흡열 엔탈피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의 미분 첨가량이 30% 및 50%의 경우 각각 196.2 J/g 및 199.4 J/g으로 높게 나타났다.

Table 3.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of rice flour that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a spray-drying process>
Samples1) To 2) (°C) Tp 2) (°C) Tc 2) (°C) ΔH2) (J/g)
Non 24.84 97.01 177.39 191.8
S10 25.22 89.26 168.29 128.9
S20 25.22 97.90 174.54 172.0
S30 25.22 99.01 177.77 196.2
S50 24.47 103.77 180.80 199.4
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
To, Tp, Tc indicate gelatinization onset, peak and completion temperatures, respectively; ΔH is designated as gelatinization enthalpy.

Download Excel Table
분무건조공정에 의한 유산균 포집특성

분무건조공정에 의한 유산균 포집특성은 Table 4와 같다. 유산균 포집특성을 검토한 결과 10% 미분 첨가 시 g당 5.78 log CFU로 가장 낮은 생균수를 나타내었으며, 특히 미분의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각각 5.78 log CFU/g, 6.38 log CFU/g, 6.69 log CFU/g 및 7.11 log CFU/g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Choi 등(37)은 유산 균을 함유한 알긴산 미세입자(10 μm)를 제조하여 유산균수 를 측정한 결과 3.26×105 CFU/g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 며, Lee 등(38)은 유산균 미세캡슐(120~486 μm)의 유산균수 를 측정한 결과 pH 2~4의 낮은 pH 조건에서만 1.2×10⁷ CFU/g~1.1×108 CFU/g의 생균수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 다. 본 연구에서 50%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7.11 log CFU/g의 유산균을 포집하면서 입자크기는 131.17 μm로 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식품산업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 된다. 유산균 24시간 배양액(9.63 log CFU/mL)과 비교한 유산균 생존율의 경우, 미분의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유산균 생존율이 각각 60.02%, 66.25%, 69.47% 및 73.85%로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의 첨가량이 50%의 경우 유산균 생존 율이 73.85%로 나타나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,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. 유산균수의 경우 pH 및 산도가 유산균수 를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되고 있는데,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유산균수가 높아질수록 pH는 높아지고, 산도 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pH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의 경우 pH 6.78로 나타나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었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미분의 첨가량에 따라 pH 4.04~4.11로 나타냄을 확인하였다. 이와같이 미분에 유산 균을 포집하였을 경우 낮은 pH로 인해 저장안정성이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되며,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

Table 4. Viable cell count, pH, and acidity of rice flour that included Lactobacillus plantarum CGKW3 by a spray-drying process
Samples1) Viable cell count pH Acidity(%)
log CFU/g % 2)
Non - - 6.78±0.02a ND4)
S10 5.78±0.24d3) 60.02±2.53d 4.04±0.01c 0.72±0.01a
S20 6.38±0.09c 66.25±0.97c 4.04±0.00c 0.56±0.04b
S30 6.69±0.18b 69.47±1.90b 4.05±0.01c 0.42±0.01c
S50 7.11±0.15a 73.85±1.55a 4.11±0.01b 0.31±0.01d

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
% of culture medium on L. plantarum CGKW3.

Means±SD (n=3) within each column (a-d)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(p<0.05).

Not detected

Download Excel Table

이와 같이 분무건조에 의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 배양액에 50%의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높은 물리화학 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, 특히 유산균 생존율이 높게 나타 나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 의 제조 및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판단된다.

요 약

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 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 며 유산균포집 미분의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 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24시간 배양한 유 산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%, 20%, 30% 및 50%(w/v)을 첨가 하여 분무건조하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 및 손상전분함량은 각각 14.18~17.75% 및 24.65~34.08%이 었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크기는 82.28~131.17 μm로 미세캡슐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, 전반적으로 구형 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 다. 수분함량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(3.34%) 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.32~2.62%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측정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제조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. 시차주사열 량계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호화에 필요한 호화엔탈피가 높아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 포집특성을 확인한 결과,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60.02~73.85%로 유의적 으로 높은 유산균 생존율을 보여주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 특히, 50%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 집 미분의 유산균수, pH 및 산도는 각각 7.11 log CFU/g, pH 4.11 및 0.31%이었으며,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. 따라 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은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의 제조가 가능하 고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.

감사의 글

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2014년도 지역 특화산업육성 기술개발사업(No.R0002973)의 연구수행으 로 인한 결과물임을 밝힙니다.

REFERENCES

1.

Ahn GN, Lee WW, Jeon YJ. Effect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f chitosan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traditional fermented foods. J Chitin Chitosan. 2014; 19 p. 194-200.

2.

Marteau PR, De Vrease M, Cellier CJ, Schrezenmeir J. Protection from gastointestinal diseases with the use of probiotics. Am J Clin Nutr. 2001; 73 p. 430-436

3.

Kim JY, Park BK, Park HJ, Park YH, Kim BO, Pyo S. Atopic dermatitis‐mitigating effects of new Lactobacillus strain, Lactobacillus sakei probio 65 isolated from Kimchi. J Appl Microbiol. 2013; 115 p. 517-526.

4.

Gueimonde M, Senchez B. Enhancing probiotic stability in industrial processes. Microb Ecol Health Dis. 2012; 23 p. 2-5

5.

Marteau P, Minekus M, Havenaar R, Huis JHJ.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in a dynamic model of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: validation and the effects of bile. J Dairy Sci. 1997; 80 p. 3031-3037

6.

Walker WA, Duffy LC. Diet and bacterial colonization : role of probiotics and prebiotics. J Nutr Biochem. 1998; 9 p. 668-675

7.

Graves RE. Uses for microencapsulation in food additives. Cereal Sci. 1972; 17-107.

8.

GA Reineccius Controlled release techniques in the food industry. In: Risch SJ, Reineccius GA, editors. Encapsul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food ingredients. Washington, DC, USAAmerican Chemical Society 1995; p. 8-25

9.

Shahidi F, Han XQ.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. Crit Rev Food Sci. 1993; 33 p. 501-547.

10.

AK King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. A review of available technology, focusing on hydrocolloids. In: Risch SJ, Reineccius GA, editors. Encapsul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food ingredients. Washington, DC, USAAmerican Chemical Society 1995; p. 26-41

11.

Young RA. Spray drying encapsulation-today's view. Ingred Proc Packaging. 1986; 31 p. 34-38.

12.

Jackson LS, Lee K. Microencapsulation and the food industry. Lebensm-wiss Technol. 1991; 24 p. 289-297.

13.

Korus J, Tomasik P, Lii CY. Microcapsules from starch granules. J Microencapsul. 2003; 20 p. 47-56

14.

Ahn JY, Ha TY. Nutritional superiority of Korean rice. Food Preserv Process Ind. 2010; 9 p. 60-64.

15.

Hong YH, Ahn HS, Lee SK, Jun SK. Relationship of properties of rice and texture of Japonica and Indica rices of different amylose content. Korean J Crop Sci. 1988; 53 p. 285-291.

16.

Kem JS. Effects of amylose content on quality of rice bread. Korean J Food Sci Technol. 1998; 30 p. 590-595.

17.

Chen JJ, Lu S, Lii CY. Effect of mill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in Taiwan. Cereal Chem. 1999; 76 p. 796-799

18.

Chiang PY, Yeh AI. Effect of soaking on wet milling of rice. J Cereal Sci. 2002; 35 p. 85-94

19.

Statistics Korea Food grain consumption survey report. Korea. 2015-31.

20.

Lee NY. Starch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Korean rice cultivar with waxy and non-waxy type. Koran J Crop Sci. 2013; 58 p. 226-231

21.

Jun HI, Yang EJ, Kim YS, Song GS. Effect of dry and wet mill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rice flours. J Korean Soc Food Sci Nutr. 2008; 37 p. 900-907

22.

Kim WS, Shin M. The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by dry and wet milling of soaked glutious and normal grains. Korean J Food Cookery Sci. 2007; 23 p. 908-918.

23.

Han SH, Rho JO.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eok with different commercial rice flours. Korean J Food Nutr. 2009; 22 p. 402-408.

24.

Lee MH, Lee YT. Bread-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, wet and semi-wet milling. J Korean Soc Food Sci Nutr. 2006; 35 p. 886-860.

25.

Han HM, Cho JH, Koh BK. Processing properties of Korean rice varieties in relation to rice noodle quality. Food Sci Biotechnol. 2011; 20 p. 1277-1282

26.

Yang SC, Lee I, Sun JH, Kim DE, Kang WS, Chung HS, Shin M, Ko S. Development of wellreconstituted instantized thin rice grauel. Food Engineering Process. 2010; 14 p. 54-59.

27.

Hur S, Cho S, Kum JS, Park JW, Kim DS. Rice flour-a functional ingredient for premicum crabstick. Food Sci Biotechnol. 2011; 20 p. 1639-1647.

28.

Williams PC, Kuzina FD, Hlynka I. A rapid colorimetric method for estimating the amylose content of starches and flours. Cereal Chem. 1970; 47 p. 411-421.

29.

Boyaci IH, Williams PC, Koksel H. A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damaged starch in wheat flours. J Cereal Sci. 2004; 39 p. 139-145

30.

Phillips RD, Chinnan MS, Granch AI, Miller J, Mcwatters KH. Effects of pretreatment on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cowpea meal. J Food Sci. 1998; 53 p. 805-809.

31.

Kim HS, Huber KC.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mylopectin fine structures of A- and B-type granules of waxy and normal soft wheat starch. J Cereal Sci. 2010; 51 p. 256-264

32.

Han HM, Cho JH, Koh BK. Effect of grinding method on flour quality in different rice cultivars. J Korean Soc Food Sci Nutr. 2012; 41 p. 1596-1602

33.

Park JD, Choi BK, Kum JS, Lee HY.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produced under different drying and milling conditions. Korean J Food Sci Technol. 2006; 38 p. 495-500.

34.

Jeong JW, Park KJ, Kim MH, Kim DS. Changes in quality of spray-dried and freeze-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. Korean J Food Sci. 2006; 38 p. 513-520.

35.

Choi ID. Fatty acids, amino acids and thermal properties of specialty rice cultivars. J Korean Soc Food Sci Nutr. 2010; 39 p. 1405-1409

36.

Ko JH, Park KH.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 study of amylose-lipid complex and amylose content in rice starch. Korean J Food Sci Technol. 1989; 21 p. 556-561.

37.

Choi CY, Kang SK, Park SK, Jang MK, Nah JW.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ncapsuled with alginate microsphere. J Life Sci. 2007; 17 p. 1754-1759

38.

Lee KW, Jang KI, Lee YB, Sohn HS, Kim KY. Development of probiotic microcapsules for the preservation of cell viability. Korean J Food Sci Technol. 2007; 39 p. 66-7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