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 론
유산균(lactic acid bacteria, LAB)은 당을 발효해서 다량 의 젖산을 생산하는 세균으로 유산음료, 치즈, 된장, 김치, 탁주 및 젓갈 등 전통적인 발효식품의 제조에 이용되어 식품의 보존성을 높여온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미생물이다(1). 전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주요 유산균 종은Lactobacillus 속으로 장내에 정상 세균총의 유지, 면역 증강 작용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 등의 기능이 보고되 고 있다(2,3). 사람에게 투여되어 여러 가지 건강 증진 효과 를 가져올 수 있는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(probiotics)라 부르며, 일반적으로 이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은 장까지 도달한 살아있는 유산균에 달려 있다(4).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제조, 유통 및 저장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항생제, 노화, 스트레스와 식이 등으로 인해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활성이 감소하여(4-6), 안정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
식품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캡슐화(encapsulation) 는 식품소재의 산화방지 및 보존성 향상, 변화하기 쉬운 식품소재의 안정화, 불필요한 냄새의 차단, 액상식품의 고 형화, 식품소재의 방출속도 조절, 제조공정의 개선 및 물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(7,8). 캡슐화에 있어 핵물질 (core materials)의 특성과 사용될 목적에 따라 다양한 중합 체가 피복물질(wall materials)로 이용되고 있는데(9,10), maltodextrin, cyclodextrin, modified lipophilic starch 및 gum 류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(11,12). 전분 에 핵물질을 캡슐화시키는 원리로는 모세관의 형성 (formation of capillary), 흡수(sorption) 및 포집화합물의 형 성(inclusion complexes)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(13).
쌀의 일반 영양성분은 쌀의 품종, 재배지역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백미의 경우 전분이 75~80%, 단백질이 6~8%, 지방, 섬유질 및 회분이 각각 1~3% 정도 함유하고 있다(14). 쌀의 주요 성분인 전분은 구조가 서로 다른 아밀 로오즈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밀로오즈 함 량의 차이에 따라 쌀의 호화 및 노화 특성 등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(15), 쌀가공품의 품질은 쌀가루의 입도크기 및 분포, 전분손상, 호화특성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(16-18). 쌀시장 개방, 소비자 기호도 및 다양성의 변화 등으 로 인하여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05년 80.7 kg에서 2014년 65.1 kg으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를 보이고 있다(19). 이에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식뿐만이 아닌 쌀 가공제품 개발 및 다양화를 위한 노력 이 이루어지고 있다(20). 국내 쌀가공에 관한 연구로는 건식 과 습식, 열처리, 건조공정 및 제분조건 등을 달리한 쌀가루 제조(21,22)가 주를 이루었으나 근래에는 떡류(23), 쌀식빵 (24), 국수(25), 죽류(26) 및 수산가공 식품과 병용한 식품개 발(27)에 대한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다.
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 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 며, 제조된 유산균포집 미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여 쌀 가공제품 개발시 가공적성 및 품질개 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.
재료 및 방법
본 실험에 사용된 미분은 국내산으로 2014년 11월 대구 소재의 농업회사법인 ㈜영풍에서 제공받은 것을 60 mesh 표준망체(0.250 mm, Chunggye, Seoul, Korea)에 통과시킨 뒤, 121°, 1.2기압에서 15분동안 처리한 다음 유산균포집 을 위한 피복물질로 사용하였다. 유산균주는 대구가톨릭대 학교기능성식품학연구실에서김치로부터분리한Lactobacillus plantarum CGKW3(KACC92075P)를 사용하였으며, MRS 배지에 액체 종균 3%를 접종하고 37°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한 다음 사용하였다. 24시간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의 유산균수는 9.63 log CFU/mL로 나타났으며, pH 및 산도는 각각 3.87, 1.56%이었다.
분무건조에 의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유산 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%, 20%, 30% 및 50%(w/v)를 첨가하 여 교반한 다음 아토마이져(atomizer)가 장착된 분무건조기 (KL-8, Seogang engineering Co., Ltd., Cheonan, Korea)를 이용하여 주입 온도 160°, 방출 온도 100°로 설정하였고, 분무속도는 17,000 rpm에서 시료공급속도는 12 mL/min의 조건으로 제조하였으며, –70° 이하의 암소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. 대조구로는 증류수에 미분을 첨가하여 교반한 뒤 분무건조한 분말을 사용하였다.
아밀로오즈함량은 Williams 등(28)의 방법에 의해 측정 하였다. 시료 0.1 g에 95% ethanol 1 mL와 1 N NaOH 9 mL를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100° 진탕 항온수조(BS-31, Jeio tech Co., Ltd., Seoul, Korea)에 넣어 10분 동안 반응시켰 다. 반응시킨 후 반응용액 5 mL를 취하고 1 N acetic acid 1 mL와 iodine-potassium iodin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, Ansan, Korea) 2 mL를 첨가한 후 증류수 를 이용하여 100 mL가 되도록 정용하였으며,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분광광도계(Ultraspec-2100pro, Amersham Co., Uppsala, Sweden)를 이용하여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 였다. 아밀로오즈함량은 감자에서 분리된 아밀로오즈 (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를 정량하여 작성 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.
손상전분함량은 Boyaci 등(29)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 다. 시료 9 g을 100 mL 정용플라스크에 넣고, α-amylase 용액(Aspergillus oryzae 125,000 unit in 450 mL acetate buffer, 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 45 mL를 첨가하여 유리막대로 잘 혼합한 다음 30° 진탕 항온수조 (BS-31, Jeio tech Co.)에 넣어 25분 동안 반응시켰다. 이 용액에 3.68 N sulfuric acid(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3 mL와 12% sodium tungstat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2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2분간 정치시켜 Whatman No. 4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굴절당도 계(N-1E, Atago Co., Ltd., Tokyo, Japan)를 이용하여 Brix를 측정하여 전분손상도 값을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.
B1 = Brix value of blank filtrate
B2 = Brix value of sample filtrate
V = Volume of slurry
M = Sample weight
F = Conversion factor = 1.64
입자크기는 레이저입도분석기(LS-13-320, Beckman coulter, Fullerton, CA, USA)를 이용하여 시료를 isopropyl alcohol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. 입자표면구조는 각 시료에 gold ion coating한 후 주사형 전자현미경(S-4800, Hitachi high-Technologies Co., Tokyo, Japan)을 이용하였으며,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은 3.0 kV에서 1,000배 비율로 하였다.
수분함량은 시료 0.5 g을 페트리디쉬에 담아 적외선 수분 측정기(MB-45, Moisture analyzer, INC., Ohaus, USA)를 이 용하여 105°에서 분말의 수분함량이 항량에 도달할 때까 지 건조하여 측정하였다.
수분흡수지수(water absorption index, WAI) 및 수분용해 지수(water solubility index, WSI)는 phillips(30)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. 시료 0.5 g에 20 mL 증류수를 첨가하 여 3,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은 수분흡 수지수로 사용하였으며, 상등액은 미리 무게를 구한 수기 에 분리하여 105°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고형분을 수분 용해지수로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.
호화 특성은 Kim 등(31)의 방법에 의해 시차주사열량계 (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, DSC-60, Shimadzu Co., Kyoto, Japan)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. DSC thermogram은 10°부터 250°까지 10°/min의 속도로 가열하여 얻은 후 호화개시온도(To, gelatinization onset temperature), 최대호 화온도(Tp, gelatinization peak temperature), 호화종결온도 (Tc, gelatinization completion temperature)와 흡열엔탈피(Δ H, gelatinization enthalpy)를 Universal analysis 2000 Program(4.5A, TA Instruments, Newcastle, DE, USA)에 의 해 계산하였다.
생균수는 시료 1 g에 0.85% sodium chloride 용액(w/v, Duksan pure chemicals Co., Ltd.) 9 mL를 첨가하여 10배 희석법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희석액 100 μL를 1.5% agar(Sigma-Aldrich Co., St. Louis, MO, USA)가 첨가 된 MRS 배지에 접종하여 평판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. 각각 의 plate는 37°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형성된 colony 수를 계측하고, colony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시료 g당 CFU (colony forming unit)로 나타내었다.
결과 및 고찰
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, 손상전분함량, 입 자크기 및 입자표면구조는 Table 1, Fig. 1 및 Fig. 2와 같다. 쌀은 아밀로오즈함량에 따라서 저 아밀로오즈(10~20%), 중간 아밀로오즈(20~25%) 및 고 아밀로오즈(25%<)로 분류 된다(32). 아밀로오즈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 의 경우 19.91%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유산균 포집 미분에서 14.18~17.75%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(Table 1). 일반적으로 아밀로오즈함량이 22% 이상인 쌀이 빵이나 국수 등의 가공용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데(25),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 질수록 아밀로오즈함량이 각각 14.18%, 15.82%, 16.92% 및 17.75%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쌀 가공제품 개발 에 있어 혼합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. 손상 전분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(38.95%)에 비하 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4.65~34.08%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손상전분 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. 입자크기의 경우 유산 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에서 77.21 μm로 가장 작았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은 82.28~131.17 μm로 유의적으로 큰 입자 크기를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50%일 때 131.17 μm 로 가장 컸다. 특히 분무건조공정에 의한 미분 제조시 Fig. 1과 같이 입자 크기가 단일 포물선 형태로 분포함을 확인하 였으며, 이로 인해 균일한 입자크기를 가지는 분말의 제조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. Park 등(33)의 연구에 따르면 초미세 쌀가루로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전분손상도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는데, 본 연구의 유산균포집 미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표면구조를 측정한 결과, 미분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으로 구형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사료된다(Fig. 2). 특히 미분 첨가량 30% 및 50%의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입자표면에 굴곡이 적고 조밀한 구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데, 이로 인해 내부 물질인 유 산균을 포집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.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유산균포집 미분의 수분함량,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 지수는 Table 2와 같다. 수분함량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 은 미분의 경우 3.34%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2.32~2.62%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 으나 미분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. 일반적으로 미분의 수분함량은 작물의 수확시기, 보관 기간 및 보관조건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, Lee(20)의 국내 쌀품종에 따른 쌀가루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7.19~13.89%로 나타내었으며, Jeong 등(34)의 분무건조 탁 주분말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6.64%로 나타나 본 연구 의 유산균포집 미분이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수분흡수지수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 (2.39)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1.96~2.13으로 유의적 으로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,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증가할수록 각각 1.96, 1.96, 2.05 및 2.13으로 높아지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Han 등(32)은 품종이 다른 쌀가루의 수분 흡수력을 측정한 결과 쌀알의 경도보다 아밀로오즈함 량이 높은 품종의 경우 수분흡수력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 는데, 본 연구에서도 아밀로오즈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흡수 력이 높게 나타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. 수분용해지 수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에서 0.68%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9.91~21.95%로 높은 용해지수를 나타내었다.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수분용해지수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, 아밀로오즈함량이 높아질수록 수분용해지수 는 낮아져 수분흡수지수와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. 이 에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보 다 유의적으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.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유산균포집 미분의 시차주사열량계(DSC)에 의한 호화 특성은 Table 3과 같다. 호화개시온도(To)는 모든 시료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, 최대 호화온도(Tp), 호화종결온도(Tc) 및 호화엔탈피(△H)는 유 산균포집 미분에서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높은 온도 및 엔탈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유산균포집 미분 의 호화개시온도(To)는 24.47~25.22° 범위이고, 최대호화 온도는 89.26~103.77°, 호화종결온도는 168.29~180.80° 로 측정되었다. Choi(35)는 유색미의 시차주사열량계에 의 한 열 특성 분석 결과 호화개시온도가 70~71° 범위로 높아 낮은 취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는데, 본 연구의 유 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낮은 호화개시온도를 나타내어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. Ko와 Park(36)은 일부 곡류 의 전분 구조 내에 존재하고 있는 amylose-lipid complex의 용융으로 인한 호화종결온도(Tc)가 상승한다고 보고하였 는데,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포집 미분의 미분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각각 168.29°, 174.54°, 177.77° 및 180.80°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amyloselipid complex의 용융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. DSC thermogram상의 흡열엔탈피를 전분이 호화될 때 나타 나는 엔탈피로 볼 때(35), 호화에 필요한 흡열 엔탈피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의 미분 첨가량이 30% 및 50%의 경우 각각 196.2 J/g 및 199.4 J/g으로 높게 나타났다.
Samples1) | To 2) (°C) | Tp 2) (°C) | Tc 2) (°C) | ΔH2) (J/g) |
---|---|---|---|---|
Non | 24.84 | 97.01 | 177.39 | 191.8 |
S10 | 25.22 | 89.26 | 168.29 | 128.9 |
S20 | 25.22 | 97.90 | 174.54 | 172.0 |
S30 | 25.22 | 99.01 | 177.77 | 196.2 |
S50 | 24.47 | 103.77 | 180.80 | 199.4 |
N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분무건조공정에 의한 유산균 포집특성은 Table 4와 같다. 유산균 포집특성을 검토한 결과 10% 미분 첨가 시 g당 5.78 log CFU로 가장 낮은 생균수를 나타내었으며, 특히 미분의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각각 5.78 log CFU/g, 6.38 log CFU/g, 6.69 log CFU/g 및 7.11 log CFU/g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Choi 등(37)은 유산 균을 함유한 알긴산 미세입자(10 μm)를 제조하여 유산균수 를 측정한 결과 3.26×105 CFU/g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 며, Lee 등(38)은 유산균 미세캡슐(120~486 μm)의 유산균수 를 측정한 결과 pH 2~4의 낮은 pH 조건에서만 1.2×10⁷ CFU/g~1.1×108 CFU/g의 생균수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 다. 본 연구에서 50%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7.11 log CFU/g의 유산균을 포집하면서 입자크기는 131.17 μm로 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식품에 적용이 가능하고 식품산업에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 된다. 유산균 24시간 배양액(9.63 log CFU/mL)과 비교한 유산균 생존율의 경우, 미분의 첨가량이 10%에서 50%로 높아질수록 유산균 생존율이 각각 60.02%, 66.25%, 69.47% 및 73.85%로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 특히 유산균포집 미분의 첨가량이 50%의 경우 유산균 생존 율이 73.85%로 나타나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,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. 유산균수의 경우 pH 및 산도가 유산균수 를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되고 있는데,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유산균수가 높아질수록 pH는 높아지고, 산도 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. pH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의 경우 pH 6.78로 나타나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었으며, 유산균포집 미분의 경우 미분의 첨가량에 따라 pH 4.04~4.11로 나타냄을 확인하였다. 이와같이 미분에 유산 균을 포집하였을 경우 낮은 pH로 인해 저장안정성이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되며,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
on, spray-dried powder of 100% rice flour; S10, spray-dried powder of 1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CGKW3; S20, spray-dried powder of 2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30, spray-dried powder of 3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; S50, spray-dried powder of 50% rice flour included L. plantarum CGKW3.
이와 같이 분무건조에 의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 배양액에 50%의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높은 물리화학 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, 특히 유산균 생존율이 높게 나타 나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 의 제조 및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판단된다.
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 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 며 유산균포집 미분의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 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24시간 배양한 유 산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%, 20%, 30% 및 50%(w/v)을 첨가 하여 분무건조하였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 및 손상전분함량은 각각 14.18~17.75% 및 24.65~34.08%이 었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크기는 82.28~131.17 μm로 미세캡슐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, 전반적으로 구형 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 다. 수분함량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(3.34%) 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.32~2.62%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,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측정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제조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. 시차주사열 량계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호화에 필요한 호화엔탈피가 높아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.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 포집특성을 확인한 결과,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60.02~73.85%로 유의적 으로 높은 유산균 생존율을 보여주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 특히, 50%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 집 미분의 유산균수, pH 및 산도는 각각 7.11 log CFU/g, pH 4.11 및 0.31%이었으며,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. 따라 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은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의 제조가 가능하 고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.